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들에 대한 답이 있습니다.
원하시는 답변을 찾지 못 하신 경우 전화 및 메일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 Q. [접근통제] 관리 대상 서버 접속 시 사용할 수 있는 Tool은 어떤 것이 있나요?

    솔루션 설치 시 기본으로 제공되는 Tool은 putty, FilezillaClient 이며, 이 외에 SecureCRT, Xshell, Ultraedit, Editplus 등 장비 접속에 사용하는 상용 툴에 대한 지원도 가능합니다. (단, 사용자 PC에 해당 Tool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 Q. [접근통제]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 후 작업했던 내역은 어떻게 로깅 하나요?

    Linux, Unix와 같이 CLI 세션에 대해서는 Text 형식으로 로그를 저장하고, Windows Server와 같은 GUI 세션은 이미지 형태로 로그를 저장합니다. 

    관리자는 관리 Web에서 사용자가 작업했던 이력을 동영상 형태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 Q. [접근통제] 위험 명령어에 대한 통제도 가능하나요?

    Unix/Linux 시스템과 같은 CLI세션에 대해서 명령어를 중요/금지 등급으로 나누어 통제하며 사용자가 금지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세션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Q. [접근통제] 서버 접근통제에서 가능한 시스템 종류는 어떻게 되나요?

    서버 접근통제는 지원 장비에 대한 제약 사항이 없으며 Telnet, SSH, FTP, SFTP, RDP 프로토콜을 서비스하는 모든 장비에 대해 지원 가능합니다. 

  • Q. [접근통제] 관리 대상 DBMS 지원 범위가 어떻게 되나요?

    Oracle, MS-SQL, MySQL, MariaDB, PostgreSQL 등 RDBMS 방식의 DB와 NoSQL 방식의 MongoDB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Q. [접근통제] 사용자가 사용했던 쿼리 별로 접속 이력을 조회하는 기능이 있을까요?

    사용자가 DB 접속 이후 작업했던 쿼리 이력에 대하여 쿼리 타입, 구문 형태로 검색하여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Q. [접근통제] 관리 대상 DB 접속 시 Tool에 대한 제약사항이 있을까요?

    HIWARE는 Tool에 대한 제약사항은 없으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HeidiSQL, Dbeaver, Toad 등 상용 Tool을 통해 DB에 접속할 수 있도록 중계역할을 수행합니다.
게시물 검색